주식정보

시간외 단일가매매에서 허매수가 나오는 이유

Happy Times 2025. 5. 9. 18:04
반응형

시간외 단일가는 주식시장에서 정규 거래시간이 끝난 후, 지정된 시간 동안 10분 단위로 거래가 체결되는 제도입니다. 간단히 말하면, 장 마감 이후에도 거래를 할 수 있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.

 

변동성이 큰 주식시장의 시간외단일가매매

✅ 시간외 단일가 매매란?

  • 운영 시간: 오후 4시부터 6시까지
  • 거래 방식: 10분 단위로 하나의 가격(단일가)으로 체결
    → 총 12회 체결
  • 가격 제한: 당일 종가 기준 ±10% 범위 내
  • 호가 제출: 실시간으로 가능하지만 10분마다 일괄 체결

✅ 예시

  • A종목 종가: 10,000원
  • 시간외 단일가에서 허용 가격 범위: 9,000원 ~ 11,000원
  • 오후 4시~4시10분 동안 매수·매도 호가 접수 → 4시10분에 단일 가격으로 체결

✅ 시간외 단일가의 특징

항목설명
체결 방식 10분 간 주문 모아 한 번에 체결 (단일가)
가격 변동성 당일 종가 기준 ±10%만 허용
매매 목적 장 마감 후 기업 공시, 이슈 반영 등
투자자 이용 단타 매매자, 공시 대응 투자자 등이 활용

 

✅ 시간외 단일가 vs 시간외 종가매매 차이점

구분시간외 종가매매시간외 단일가매매
시간 15:40 ~ 16:00 16:00 ~ 18:00
가격 당일 종가로만 거래 종가 ±10% 범위
체결방식 선착순 즉시 체결 10분 단위 단일가 체결
목적 종가에 사고팔기 공시 대응, 단기 차익 노림

 

 

✅ 허매수가 나오는 이유 (특히 상한가 부근에서)

 

1. 호가창을 이용한 심리 조작 ( 페이크 매수세 유도 )

  • 100억 원 규모의 상한가 매수 주문이 있으면:
    • 다른 투자자들은 “이 종목에 뭔가 있나?”, “상한가 갈까?” 하고 매수에 가담함
  • 하지만 실제 체결되기 전에 매수 주문을 빼버림
    • 순식간에 매수 심리 무너지고, 개미들만 상단에 물림

👉 즉, "묻지마 매수세"를 유도하고, 개미를 함정에 빠뜨리는 전략입니다.


2. 호가 조작 후 본인 매도물량 정리

  • 예: 상한가 부근 허매수 → 사람들 몰려들어 진짜 매수세 유입
    → 그 뒤 자신이 싸게 잡아둔 물량을 높은 가격에 몰래 매도

👉 실제로는 매수하겠다는 의사가 없으면서도 "가격 띄우기" + "팔기 좋은 분위기 조성"이 목적입니다.


3. 공시나 뉴스 유도용 포장

  • 특정 세력은 시간외에 호가를 이용해:
    • “이 종목 무언가 터질 것 같아 보이게” 만들고,
    • 뉴스 검색량이나 관심도를 유도함

👉 이로 인해 다음날 개장 전부터 관심 종목에 오르고, 개장 후 갭상승 유도


4. 개인투자자 패닉 유도 및 손절 유도

  • 반대로 허매수 후 갑작스레 취소하면:
    • 일부 개미들은 “뭔가 잘못됐나?” 하고 던져버림
  • 그때 세력은 저가에서 다시 매집

👉 허매수 = 흔들기 전술의 일환


❗ 참고로: 이런 행위는 "시장 질서 교란 행위"로 불법입니다.

금융위원회/금융감독원에서는 이를 "시세 조종성 허위 주문" 또는 "호가 위장"으로 간주하며,
필요 시 조사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
✅ 시간외단일가에서 허매수가 나오는 이유에 대한 요약


심리 유도 묻지마 매수세 유도하여 개미 유입
시세 띄우기 허매수 후 보유 물량 고가에 매도
뉴스/관심 유도 허매수로 인한 관심도 상승 노림
손절 유도 매수세 허탈로 개미 흔들기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