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개인 투자자들이 깡통차는 이유는?
Happy Times
2025. 3. 10. 04:18
반응형
📉 개인 투자자가 주식 시장에서 깡통을 차는 이유
1️⃣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올인한다.
- 전 재산을 한 종목에 올인 하거나 **신용 거래(빚투)**로 투자를 하기 때문이다.
- 주식 투자에 더해서 레버리지가 있는 ETF나 옵션, 선물 거래를 병행한다면, 더 빠르게 깡통을 차게된다.
🔹 해결책
✅ 자신이 가진 자산의 5~10%내의 금액에서만 투자를 한다.
✅ 신용 거래(빚투) 사용을 염두에 두고, 특히 현금 투자만 한다.
2️⃣ 손절매를 하지 않는 비이성적 투자 습관
- 개인 투자자들은 손실이 커져도 오늘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계속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짐.
- 특히 하락장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손절매를 하는 것이 반토막, 깡통을 찰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.
🔹 솔루션
✅ 투자하기 **손절매 기준(예: 2~3% 줄어든 시점에서 매도)**을 정하고 접근하기 실행.
✅ 분석을 통해 손절매할 가격을 미리 설정하기.
3️⃣ 단타 매매 중독 (높은 위험성)
- 보통의 일반 투자자들은 종종 **단기 매매(단타)**로 빠른 수익을 기대하지만, 초단타 매매는 숙련된 프로들의 리그이며, 일반인들이 초단기 매매로 돈을 벌기는 낙타가 바늘에 들어가는 격으로 어렵다.
- 특히 시장의 변동성을 제대로 예측하지 않으면 더욱더 큰 손실을 가져오는 것이 단기 매매이다.
🔹 해결책
✅ 단타보다 **중장기 투자(최소 6개월~1년 이상 보유)**를 하거나 2일~5일 정도를 보유하는 스윙 투자 방법등을 함.
✅ 매매를 할때에 이익을 보는 것보다 손실을 줄이는 것에 더 에너지를 집중한다.
4️⃣ "남들 따라 하기" 투자 (묻지마 투자)
- 유튜브, 커뮤니티, 지인의 추천을 듣고 분석 없이 종목을 매수한다.
- "이러한 대박 난대!" "○○가 다대!" 같은 말에 쓸려 매수를 하면 대부분 고점에서 물리게 됨.
🔹 솔루션
✅ 투자하기 전에 **직접 기업 분석(재무제표, 성장성, 업황)**을 해보기.
✅ SNS·유튜브 정보는 참고만 하기.
5️⃣ 기대와 감정적 매매
- 주식 시장에서 감정(탐욕, 두려움)에 휘둘려 매매하기 때문.
- 장에서는 기대감으로 고점에 매수를 하고, 저점에 매도를 한다.
✅ 투자 목표 수익과 덜 제한된 범위를 미리 설정합니다.
✅ 매매할 때 감정을 개입되지 않도록 자동매매, 분할 매도/매수를 활용한다.
6️⃣ 투자 공부 도움말
- 재무재표, PER, PBR, ROE, 차트 분석 등을 공부한다.
- 경제 뉴스, 미국시장, 환율등 거시경제와 미시 경제의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한다.
🔹 해결책
✅ 그에 따라 제표 분석, 기업 이익, 경제적인 효과 를 연구.
✅ 미국 증시, 부품, 원자재 가격 등의 거시경제 지표등도 확인.
7️⃣ 작전주, 테마주에 투자를 하면 깡통을 차기 쉽다.
- 급등주, 작업주, 테마주를 따라 투자를 하면 급락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깡통을 차기 쉽다.
- 소문만 믿고 묻지마 투자를 하는 경우 깡통을 찬다.
🔹 해결책
✅ 성장성을 가지고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회사에 투자한다.
✅ 테마주, 작전주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.
💡 깡통을 막는 7가지 투자 원칙
🔹 1️⃣ 분산 투자
- 한 종목에 올인하지 않고, 작게 3~5개로 분산투자한다.
🔹 2️⃣ 손절매 기준 설정
- 선택하기 전에 미리 정한 손절 라인을 정해서 칼같이 지킨다.
🔹 3️⃣ 감정 매매 방지
- "남들이 사니까" "불안하니까 팔아야지" 같은 감정을 배재해야한다.
🔹 4️⃣ 확신을 가진 기업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보유
- 기업의 가치가 성장하고 있으며 영업이익율이 증가한다면 보유를 한다.
🔹 5️⃣ 저축·빚투 자제
- 신용거래, 레버리지의 사용을 자제한다.
🔹 6️⃣ 시장의 원리를 이해한다.
- 유가, 환율, 금리, 세계 시장의 흐름을 공부한다.
🔹 7️⃣ 나만의 투자 원칙 만들기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