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알뜰잡학상식

시세보다 부동산 가격이 싼 이유, 주의할점

by Happy Times 2025. 3. 28.
반응형

시세보다 싼 부동산이 나온다면 이유를 찾아봐야한다.

 

 

시세보다 싼 부동산, 이유는 무엇일까? 

 

 

부동산 계약을 할 때 시세보다 현저히 싼 매물이 나오는 경우, 대부분은 ‘싸다고 무조건 이득’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.

시세보다 부동산의 가격이 저렴하다면 분명 그럴 만한 이유가 분명히 있고, 주의하지 않으면 큰 손해를 볼 수도 있다. 


 시세보다 싸게 나온 부동산의 대표적인 이유


1. 급매 (급하게 팔아야 할 사정이 있는 경우)

채무 변제, 이사, 이혼, 상속 등의 사유로 빠르게 현금을 확보해야 해서 싸게 내놓는 경우.

주의점: 등기부등본 확인해서 압류, 가압류, 근저당 여부 꼭 체크.

2. 하자 있는 물건

누수, 곰팡이, 하수 문제, 일조권 침해, 구조적 문제 등이 있는 경우.

주의점: 현장 직접 확인하고, 가능하면 건축 전문가나 인스펙터와 동행.

3. 역세권·상권 변화, 재개발 실패 등 입지 가치 하락

주변 개발이 취소되거나, 교통망 변경 등으로 가격이 하락한 지역일 수 있음.

주의점: 해당 지역의 도시계획, 개발계획 등을 지자체 사이트나 국토교통부 통해 확인.

4. 심리적 기피 물건 (사고·사망 등)

자살, 타살, 화재, 사고사 등이 발생한 이력 있는 ‘기피물건’일 수 있음.

주의점: 중개사에게 고지의무 있음. 명확히 물어보고, 가능하면 주변 주민에게도 문의.

5. 법적 분쟁 중인 물건

소유권 분쟁, 상속자 다툼, 임차인과의 분쟁 등.

주의점: 등기부등본, 법원 경매 정보, 분쟁 이력을 확인. 전문가 자문 필요.

6. 권리관계 복잡 (근저당, 전세권, 임차인 권리 등)

매수 후에도 기존 권리자가 그대로 거주하거나 나가지 않는 문제 발생.

주의점: 임대차 계약서 확인, 전입일자, 확정일자 체크 → 선순위 임차인 여부 꼭 확인!

7. 허위매물 or 미끼매물

싸게 보여서 사람을 유인하고, 다른 매물을 권유하는 경우.

주의점: 직접 방문 전 계약금 절대 송금 금지, 공인중개사 등록번호 확인.

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