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시간외 단일가는 주식시장에서 정규 거래시간이 끝난 후, 지정된 시간 동안 10분 단위로 거래가 체결되는 제도입니다. 간단히 말하면, 장 마감 이후에도 거래를 할 수 있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.
✅ 시간외 단일가 매매란?
- 운영 시간: 오후 4시부터 6시까지
- 거래 방식: 10분 단위로 하나의 가격(단일가)으로 체결
→ 총 12회 체결 - 가격 제한: 당일 종가 기준 ±10% 범위 내
- 호가 제출: 실시간으로 가능하지만 10분마다 일괄 체결
✅ 예시
- A종목 종가: 10,000원
- 시간외 단일가에서 허용 가격 범위: 9,000원 ~ 11,000원
- 오후 4시~4시10분 동안 매수·매도 호가 접수 → 4시10분에 단일 가격으로 체결
✅ 시간외 단일가의 특징
항목설명
체결 방식 | 10분 간 주문 모아 한 번에 체결 (단일가) |
가격 변동성 | 당일 종가 기준 ±10%만 허용 |
매매 목적 | 장 마감 후 기업 공시, 이슈 반영 등 |
투자자 이용 | 단타 매매자, 공시 대응 투자자 등이 활용 |
✅ 시간외 단일가 vs 시간외 종가매매 차이점
구분시간외 종가매매시간외 단일가매매
시간 | 15:40 ~ 16:00 | 16:00 ~ 18:00 |
가격 | 당일 종가로만 거래 | 종가 ±10% 범위 |
체결방식 | 선착순 즉시 체결 | 10분 단위 단일가 체결 |
목적 | 종가에 사고팔기 | 공시 대응, 단기 차익 노림 |
✅ 허매수가 나오는 이유 (특히 상한가 부근에서)
1. 호가창을 이용한 심리 조작 ( 페이크 매수세 유도 )
- 100억 원 규모의 상한가 매수 주문이 있으면:
- 다른 투자자들은 “이 종목에 뭔가 있나?”, “상한가 갈까?” 하고 매수에 가담함
- 하지만 실제 체결되기 전에 매수 주문을 빼버림
- 순식간에 매수 심리 무너지고, 개미들만 상단에 물림
👉 즉, "묻지마 매수세"를 유도하고, 개미를 함정에 빠뜨리는 전략입니다.
2. 호가 조작 후 본인 매도물량 정리
- 예: 상한가 부근 허매수 → 사람들 몰려들어 진짜 매수세 유입
→ 그 뒤 자신이 싸게 잡아둔 물량을 높은 가격에 몰래 매도
👉 실제로는 매수하겠다는 의사가 없으면서도 "가격 띄우기" + "팔기 좋은 분위기 조성"이 목적입니다.
3. 공시나 뉴스 유도용 포장
- 특정 세력은 시간외에 호가를 이용해:
- “이 종목 무언가 터질 것 같아 보이게” 만들고,
- 뉴스 검색량이나 관심도를 유도함
👉 이로 인해 다음날 개장 전부터 관심 종목에 오르고, 개장 후 갭상승 유도
4. 개인투자자 패닉 유도 및 손절 유도
- 반대로 허매수 후 갑작스레 취소하면:
- 일부 개미들은 “뭔가 잘못됐나?” 하고 던져버림
- 그때 세력은 저가에서 다시 매집
👉 허매수 = 흔들기 전술의 일환
❗ 참고로: 이런 행위는 "시장 질서 교란 행위"로 불법입니다.
금융위원회/금융감독원에서는 이를 "시세 조종성 허위 주문" 또는 "호가 위장"으로 간주하며,
필요 시 조사와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시간외단일가에서 허매수가 나오는 이유에 대한 요약
심리 유도 | 묻지마 매수세 유도하여 개미 유입 |
시세 띄우기 | 허매수 후 보유 물량 고가에 매도 |
뉴스/관심 유도 | 허매수로 인한 관심도 상승 노림 |
손절 유도 | 매수세 허탈로 개미 흔들기 |
반응형
'주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박두환투자자 올 하반기 상승할 4가지 종목 추천주는? (0) | 2025.08.17 |
---|---|
S & P 500 ETF에 투자하는 법과 종류 알아보기 (0) | 2025.05.09 |
나우로보틱스 주가 전망, 투자시 주의점, 투자포인트 (0) | 2025.05.09 |